안녕하세요. 돈민찌입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사료를 정리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 통용되는 사료의 등급에 대해서 여러가지 말을 했었는데요. "사료의 등급보다는 브랜드를 믿으라"라고 위스카스가 말했지만, 정작 위스카스의 원료는 엉망이었고, "육류의 부산물이 꼭 최악의 원료는 아니다."라고 국내 사료 브랜드들이 수의사들의 입을 빌려 인터뷰를 수없이 했지만, 원료에 'By-produt'가 들어가면 아무래도 구입이 망설여지는 게 사실이죠.
이러한 일이 왜 생기는 걸까. 오래 생각해봤습니다. 적어도 수입 사료에 대해서는 거의 완벽한 데이터 베이스를 갖추고 나니, 좋은 방법으로 생산된 좋은 원료를 사용했지만, 영양 성분이 불균형한 사료도, 좋은 영양 성분의 비율을 갖췄지만, 원료가 불분명한 사료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기존의 반려동물 사료 등급표는 어떤 방식으로 정해졌을까요?
가장 먼저, '사료 등급'이 아닌 '식품 등급'(휴먼 그레이드)의 원료를 사용한 사료를 '홀리스틱' 급으로 정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육분, 가금육, 부산물을 원료로 사용한 사료를 낮은 등급인 '글로서리', '프리미엄' 급으로 낮췄습니다. 그것을 뺀 나머지를 '슈퍼 프리미엄'이라고 정의하는 것 같아요.
왜 이런 분류 방식이 지금까지 널리 사용된 것일까요? 또 왜 일부 사료 브랜드들이 이런 방식을 거부하는 것일까요?
반려동물을 자식처럼 사랑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반려동물 사료의 기준은 날로 높아졌습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내가 못 먹을 것은 내 자식에게도 먹이지 않겠다.'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이 늘어난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죠. 하지만 미국사료협회가 계속해서 입장을 밝히듯이,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고 해서 반려동물에게 이로운 것은 아니고, 그 반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렇지만 반대로, 사람에게 해로운 성분은 반려동물에게도 보통 해롭죠. 그래서 원료만으로 나눈 현재의 사료 등급이 그럭저럭 유용했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합성 보존료와 색소, 감미료를 사용하는 사료 회사가 성분과 원료에 집중해서 사료를 만들었을리가 없었고, 그런 것들까지 신경 쓰는 사료 브랜드가 성분과 원료까지 괜찮은 좋은 사료를 만들었겠죠. 성분과 원료, 그리고 사료의 품질에 어느정도 상관관계가 있으니 그런 방식이 지금까지 통해온 것이죠.
왜 계속해서 사료 등급의 신뢰도를 부정하는 기사들이 쏟아지는 걸까요? 어떤 분들은 이것이 위스카스나 로얄캐닌처럼 사료 원료를 명확하게 하지 않는 브랜드들이 자신들의 제품이 낮은 등급을 받는 것 때문에 언론을 통해 그런 등급 방식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물론 저도 어느 정도 동의합니다. '등급보다 브랜드를 믿어라'라고 말하는 그런 다국적기업들이 전세계에 제조 공장을 두고, 본사의 연구 성과와 튼튼한 소비자 팬덤을 앞세워 아시아 등 반려동물 산업에 관심이 비교적 적은 국가들에 저급한 사료를 생산,공급하고 있는 게 사실이니까요.
기존 사료 등급의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또, 대안은 있나요?
첫번째, '휴먼 그레이드'라는 애매한 개념을 최고 등급인 '홀리스틱'과 동일시함.
(보통 홀리스틱 사료 브랜드는 전체론적인 관점에서 '토탈 케어'할 수 있는 사료를 뜻함)
두번째, 좋은 원료에만 집중하다 보니, 오가닉 같은 애매한 위치의 등급이 생김.
세번째, 등급을 나누는 주체가 없다보니, 새로운 제품이 나왔을 때 재분류가 늦음.
네번째, 리콜 이력, 위험 성분 등을 모두 반영하려는 소비자들 때문에 같은 사료도 자료에 따라 등급이 다름.
다섯번째, 상대적으로 원료에 더 집중하기 때문에 성분비율이 좋지 않은 사료가 높은 등급을 받음.
정도가 기존 사료 등급의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저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새로운 등급 체계를 만들 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원료의 등급과 성분의 등급을 나눠 보는 게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성분을 A,B,C(심각하게 나쁜 경우 D까지)로 나누고, 원료를 보고 1,2,3(심각하게 나쁜 경우 4까지)으로 나눠 분류하는 게 어떨까 생각합니다. 각각의 등급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지만, 복합적으로 A1,B1,C1,A2,B2... 등 최소 9개, 최대 16개 등급의 우위는 개개인의 선택에 맡기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무슨 얘기냐면 A2보다 B1이 더 높은 등급이라고 생각해도 좋고, 반대라고 생각해도 좋은 것입니다.
성분A등급: 균형잡힌 고단백(4n:4n:1n에 가까운 PFC), 저단백(3n:3n:3n에 가까운 PFC) 사료.
성분B등급: 단백질이 열량소 중 30% 이하이거나, 탄수화물이 열량소 중 35% 이상을 차지하는 사료.
성분C등급: PFC(열량소) 비율이 부적절하고, 미네랄(특히 칼슘인)의 비율이 부적절한 사료
원료0등급: 유기농 혹은 방사해서 기른 축산품, 자연산 생선이나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조업한 생선을 사용한 사료
원료1등급: 일반적으로 식료품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생육(생닭고기 등) 또는 희귀한 원료(멧돼지, 해덕대구 등)의 분말
원료2등급: 일반적으로 식료품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원료명으로 표기된 분말 (가금육, 생선 분말 등)
원료3등급: 닭고기 부산물, 가금류 분말, 동물성 단백질 등 일반적인 식료품점에서 판매하지 않는 원료
앞으로 업로드하는 사료에 계속해서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생각입니다. 그레인프리는 익스트루전 등 사료의 생산 방식이나 가격 때문에 포기하지 못하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 글루텐 역시 글루텐 불내증이 있는 반려동물이 아니라면 '반드시'피해야 할 이유는 없기 때문에, 단백질 공급원에 좀 더 집중한 방식을 적용했습니다.